태양광 발전사업 용어 알아보기 2편
안녕하세요
태양광 이웃님들
04월 26일
수요일입니다.
태양광 발전사업을 진행하시다가
용어가 어려우신 적 있으시죠?
오늘 저희가
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오늘의 태양광 정보는
태양광 발전사업 용어 알아보기 2편
입니다.
태양광 전문기업 (주) 파랑티에스에너지
▶ 태양전지 [Solar Photovoltaic cell, Solar cell]
태양광을 수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반도체이자, 광전효과를 활용하는 광전변환 소지의 한 종류입니다. 근래에는 '태양전지(Solar cell)' 보다는 '태양광발전 전기(Photovoltaic cell)'로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. 태양전지는 전력 변환 시 '기전력 효과'를 응용하게 되는데, 태양광으로 인해 만들어진 '전하 운반자'는 내부 전기장에서 외부 회로로 이동하게 됩니다. 이는 '광전효과'에서 발생하는 원리와 비슷하며, 실질적으로 전지로 이루어진 집합체는 태양광 모듈에 장착되고 모듈은 또 다시 직.병렬 결합을 통해 태양광 어레이 형태로 만들어집니다.
현재 태양전지는 전지 특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조건하에 응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점으로 인해, 화학전지/배터리/전기분해/인공위성/광학 신호/태양 펌프/통신 등 외지나 원거리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. 물론, 태양전지를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등에 확대 적용할 순 있지만, 태양광 모듈 단가가 더 하락해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▶ 태양광 (발전) 모듈 [Photovoltaic module, Solar cell module]
태양광 어레이와 발전소자의 최소 단위인 태양광 모듈은 여러개의 태양광 셀을 결합하여 하나의 태양광 전지판으로 만든 제품을 말합니다. '태양광 패널'이라고도 불리는 태양광 모듈은 상호 결선된 태양전지(셀/서브모듈)를 외부환경에 버틸 수 있도록 결합하고, 정해진 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작됩니다.
▶ 태양전지 면적 [Solar cell area]
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산정할 때 사용되는 단위로, 최근 유리기판으로 만들어진 태양전지와 집광형 태양전지 등이 보급되면서 정확한 변환효율 산정을 위해 3가지 태양전지 면적이 도입되었습니다.
- 지정조사면적 : 태양전지(집광형)의 '지정'된 부분에만 빛을 '조사'할 때의 태양전지 면적을 말하며, 인근 전극 등에 해당하는 부분은 마스크로 가라고 진행합니다.
- 개구 면적 : 태양전지(유리기판) 주위 물질을 거쳐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스크로 가린 후, 태양전지 전체면적(전극 포함)이 마스크 안쪽에 위치하도록 했을 때의 태양전지 면적
- 총면적 : 대표적인 태양전지 면적의 정의에 해당하며, 정면에서 빛을 투영 또는 반사시켜 측정한 태양전지의 전체면적을 말합니다.
* 기존에는 태양전지 면적을 '전극 면적(유효 수광 면적)'과 '전체 수광 면적'으로 분류하여, 변환효율을 독립적으로 산정함.
▶ 태양전지 패널 [Photovoltic panel]
다수의 태양광 모듈의 기계적 결합을 통해 패널의 형태로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 가능하도록 결합한 기자재로 태양광 어레이 혹은 태양광 서브 어레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전에 조립, 결선한 형태로 제공하는 태양광모듈을 의미합니다.
▶ P/N 접합 태양전지 [PN junction solar cell]
연속적인 반도체 한쪽면을 P형, 나머지는 N형을 지닌 구조물 접합시켜 만든 태양전지
▶ 태양급 실리콘 [Solar grade silicon, SOG silicon]
태양전지 (결정질 실리콘) 용 기판의 원료로 사용되는 규소
▶ 플랙시블 태양전지 [Flexible solar cell]
유연성과 유동성을 지닌 박막형 태양전지로, 얇은 두깨와 구부릴 수 있는 규소 기관으로 만들어진 태양전지
▶ 화합물 (반도체) 태양전지 [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]
다수의 원소를 가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만들어진 태양전지를 말하며, 구성 원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됩니다.
- GaAs/CulnSe2/Cds/CdTe/InP/GaAs 태양전지
- I-III-VI/II-VI/III-V 족 태양전지
▶ 태양고도 [Solar Altitude, Solar elevation]
태양의 중심부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이자, 태양광 (직달)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태양광 발전사업 용어
▶ 태양광에너지, 복사에너지 [Solar energy]
태양에서 내뿜는 복사에너지로, 스펙트럼은 약 6천 K의 흑체와 유사합니다. 태양광 에너지의 원천은 '수소의 핵융합 반응'으로부터 나옵니다.
▶ 태양광발전 [Photovoltaic power generation]
태양광 에너지를 '광전효과'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형태를 말하며, 주로 태양전지가 에너지 변환의 역할을 담당합니다.
▶ 태양광 발전시스템 [Photovoltaic (power generationg)system]
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모든 설비 및 부속설비를 일컫는 태양광 용어
▶ 표준 시험 조건 [STC,Standard Test Condition]
태양전지(셀), 태양광 모듈의 특성을 측정할 때 이용하는 시험이며, 다음과 같은 시험기준을 의미하는 태양광 발전사업 용어입니다.
- STC 조건 : 25도의 태양전지온도/1000w/m2의 일조(조사)감도/분광조성:기준태양광(AM 1.5)
▶ 투명전극 [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]
태양전지의 표면(입사면)에 형성시킨 전극을 말하는 태양광 용어로, 높은 광투과율과 전도율을 갖고 있습니다.
▶ 태양광 발전용 납 축전지
태양광 발전시스템 상의 납축전지를 일컫는 태양광 용어로,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품질을 충족하는 조건으로 설계된 납축전지를 말합니다.
태양광 발전사업 용어 알아보기 2편
오늘의 태양광 정보는
여기까지입니다.
태양광 발전사업 용어는
이 외에도 다양합니다.
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
아래 댓글로 문의주세요.
그럼 저희는 새로운 정보로
돌아오겠습니다.
태양광 전문기업 (주) 파랑티에스에너지
'RPS 태양광 발전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양광 구조물 종류를 확인하자 (0) | 2023.05.03 |
---|---|
미니태양광 설치 전 알아두면 좋은 정보 (0) | 2023.04.28 |
태양광 구조물 종류와 재질에 대해 알아봅시다 (0) | 2023.04.24 |
축사 태양광 발전사업 관련 설명 (2) | 2023.04.20 |
태양광 인허가 절차 서류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3.04.18 |